카테고리 없음

통계학과 관련 직업 _ IT산업 데이터 분석가 (토스)

collie@ 2025. 11. 7. 11:21

Data Analyst

일반적으로 현업에서 데이터 분석가는 그렇게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포지션은 아닌것으로 알고 있지만, 토스에서 데이터 분석가는 조금 다르다. 친구가 토스에서 개발직군에 있어서 그 이야기를 조금이나마 들어볼 수 있었는데 데이터 직군이 의사결정에 정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, 임팩트가 큰 직군이라고 전해들었다.

 

타 회사들은 다른 직군들이 먼저 존재하고 데이터 직군을 어쩔 수 없이 이제 막 써보려고 하는 정도에서 지금 점점 정착되어가는 조직구조인 반면, 토스라는 회사는 성장기 초기부터 데이터직군의 역할이 컸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.

 

때문에 타 회사의 데이터 직군은 의사 결정에 보조 수준이지만, 토스에서는 결정의 주체가 되기도 하는 일이 아주 잦다고 한다.

 

그러니까 통계를 다루면서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의사결정까지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충분히 생각해볼만한 포지션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.

 

중요한 정보로 토스가 원하는 인재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 적어보았다.

 

  • SQL을 사용해 직접 데이터를 추출하고 정제해보신 분이 필요해요.
  •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분석 방법(Customer Lifetime Value, Retention, Cohort Analysis 등)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이해도가 필요해요.
  • 지표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가설을 설정해보고 실험하여 직접 서비스를 개선해본 경험이 필요해요.
  • 가설을 세워 A/B 테스트를 설계하고 진행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보신 경험이 필요해요.
  • 데이터 시각화(Tableau 등)에 대한 경험이 있으면 좋아요.
  • 연차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아요. 다양한 경험에서 파생되는 인사이트를 중요하게 생각해요.

 

또 이력서 추천 기입 사항에 대한 정보다

 

  • 그동안 해오신 업무 중 임팩트 있었던 프로젝트를 구체적으로 적어주세요.
  • 진행했던 프로젝트의 문제정의-가설설정-실험설계 및 검증-결과의 과정이 드러나면 강점이 돋보일 거예요.
  • 데이터 분석으로 서비스 이용 유저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액션을 제시하신 경험이 있다면 적어주세요.
  •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분석 방법(LTV, AARRR, Cohort, Funnel 등)을 깊게 활용해봤는지 확인하고 있어요.
  • 목표를 달성했다면 이탈률, 전환율, 매출액 등 지표의 개선을 수치로 나타내주면 좋아요. (외부 공개가 민감한 사항일 경우, 해당 부분은 제외해 주세요.)

또한 합류하기 위한 과정은

서류 -> 쿼리테스트 -> 직무 인터뷰 -> 문화적합성 인터뷰 -> 레퍼런스 체크 -> 처우협의 -> 최종합격 및 입사

 

라고 하며, 중요하게 볼 부분이 쿼리테스트와 레퍼런스 체크이다.

 

 

통계학과에 가기 위해서 준비를 할 때도, 아예 현업 단위의 구상을 하며, 학교에서 하는 소논문이나 미니 프로젝트도

문제정의-가설설정-실험설계 및 검증-결과 

이 과정이 잘 보이도록 해보고, 면접에 활용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을 것 같다.